화상 감독 가이드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화상 감독을 어떤 기준으로 해야 할지 모호한 경우 소프티어에서 제공하는 화상 감독 가이드 기준을 따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응시자 화면은 전체 화면이 공유되어야 합니다.
Windows의 경우, 작업표시줄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시험에 응시하도록 안내합니다.
Mac의 경우, Dock bar 확인 후 이상이 없다면 시험에 계속 응시하도록 안내합니다. (* 특이사항이 없을 경우, Dock bar 비활성화 상태로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응시자 PC 전체 화면을 공유하는 이유는 외부 프로그램 사용을 감독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외부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 여부를 중점적으로 감독을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외부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중이라면, 즉시 종료해달라고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웹 캠의 경우 본인 식별이 가능하도록 얼굴 전체가 보이도록 설정되어야 합니다.
웹캠은 응시자 본인 확인과 자리 이탈 등의 부정행위 감독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웹캠은 응시자 얼굴 전체가 보일 수 있도록 설정되어야합니다. 또한, 응시자 이외의 사람이 없는 격리된 공간인지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어폰 착용 여부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어폰 착용은 불가능하며, 마이크가 없을 경우 이어폰 “연결”은 가능합니다.
모바일 캠의 경우 모니터 전체 화면과 키보드가 보이도록 설정되어야 합니다.
모바일 카메라는 듀얼 모니터 확인과 컨닝 등의 부정행위 감독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모바일 카메라는 모니터 화면 전체와 키보드와 손이 보이도록 설정되어야합니다.
듀얼 모니터 사용은 불가능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모니터는 제거하거나 수건 등의 천으로 화면을 가릴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실제 응시자 중 책상 위 전자기기를 두고 사용한 행위가 적발된 사례가 있습니다. 모바일 카메라를 통해 책상 위 부정행위가 될 만한 요소들을 감독해주시기 바랍니다.
웹캠 화면 속 응시자와 응시자가 제출한 신분증을 대조하여 동일인인지 확인합니다.
동일인이 맞는 경우 “검사완료” 버튼을 누르시면, 아이콘이 활성화 됩니다.
url에 “docs” or “reference”가 포함된 경우는 레퍼런스로 간주하면 됨
duckduckgo도 레퍼런스 사이트로 간주